🚀 94sssh
Published on

2024.03.04

[함수형 코딩] - 14. 중첩된 데이터에 함수형 도구 사용하기

질문

같은거 아니에요..?

깊이 중첩된 구조를 설계할 때 생각할 점

깊이 중첩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긴 키 경로가 필요할 수 있는데, 키 경로가 길면 중간 객체가 어떤 키를 가졌는지 기억하기 어렵다. 경로에 따라 중첩된 각 단계에는 기억해야 할 새로운 데이터 구조가 있고, 각 데이터 구조에 어떤 키가 있는지는 기억하기 어렵다.
기억해야 할 것이 많을 때는 추상화 벽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추상화 벽을 사용하면 구체적인 것은 몰라도 된다.

깊이 중첩된 데이터에 추상화 벽 사용하기

추상화 벽을 통해 함수를 개선했을 때 좋아진 점

  1. 기억해야 할 것이 줄어듬
  2. 동작의 이름이 있으므로 각각의 동작을 기억하기 쉽다.

    근데 장점으로 동작의 이름이 있는 점을 소개해줬는데, 책 내용대로라면 암묵적 인자이지 않나..? 중복되는 코드를 리팩터링 하는 과정이 아니고 단일 함수라서 괜찮은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