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shed on
2024.02.21
[함수형 코딩] - 12. 함수형 반복
🥳🥳🥳
이번 챕터에서 함수형 도구로 map()
filter()
reduce()
를 다뤘는데, map과 filter는 알고리즘을 풀 때부터 정말 많이 사용했고, 특히나 map은 일을 하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서드 top3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많이 사용해서 책의 내용은 무난하게 읽으면서 넘어갔다.
reduce의 경우에는 많이 사용해보지 않아서 형태가 눈에 익숙하지도 않았는데 최근에 설명을 듣고 실제로 써보면서 복잡해보이는 로직을 짧고 간결하게 쓸 수 있다는 점이 좋다고 생각했다. 물론 아직도 reduce는 함수 사용 형태를 보면 한 눈에 동작이 들어오지 않고 시간이 좀 걸리지만, 직접 써보면서 장점을 많이 느꼈고, 구현하는 재미도 있었는데 최근에는 reduce를 쓸 일이 없어 그게 잠시 멈춘 것 같아 아쉽다. 조만간 또 쓰게 되지 않을까, 그러면 확실히 내 것이 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reduce()
주의할 점
- 초깃값을 결정하는 방법
- 계산이 어떤 값에서 시작하는가?
- 빈 배열을 사용하면 어떤 값을 리턴할 것인가?
- 비즈니스 규칙이 있는가?